![]() |
| ▲ 로보월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로보월드 |
| ⓒ 오성훈 |
30개국 350개사가 만든 로봇 놀이터
전시장에 들어서자 형형색색의 로봇들이 눈앞에 펼쳐졌다. 킨텍스 1~2홀을 가득 채운 1,000개 부스에서 각양각색의 로봇이 움직이고, 춤추고, 노래하고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AI·로봇산업협회 등이 주관한 이번 행사는 30개국에서 350개 기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입구에서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은 건 휴머노이드 로봇의 댄스 시연이었다. 유려한 동작으로 K-POP 안무를 소화하는 로봇 앞에서 아이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부모들은 연신 스마트폰을 꺼내 영상을 찍느라 바빴다.
"와, 진짜 사람처럼 춤춰요!"
한 초등학생의 탄성에 부모가 웃으며 대답했다.
"그치? 나중에 이런 로봇이 우리 집에도 올 수 있대."
백 번의 설명보다 값진 한 번의 경험
로보월드의 가장 큰 매력은 '보기만 하는' 전시가 아니라는 점이다. 곳곳에 마련된 체험 부스에서 아이들은 직접 로봇을 조작하고, 코딩을 배우고, 간단한 로봇을 조립할 수 있다.
한 교육용 로봇 부스 앞에는 긴 대기 줄이 형성되어 있었다. 초등학교 3학년 아들과 5학년 아들을 데리고 서초구에서 찾아왔다는 최지민씨 가족도 그 줄에 서 있었다.
"큰아이가 로봇에 관심이 많아서 학교 체험학습을 신청하고 왔어요. 서초에서 일산까지 먼 길이긴 한데, 아이들이 좋아하니까 힘든 줄 모르겠네요."
최씨의 큰아들은 얼마 전 로봇 대회에서 3등을 했다며, 다음 달 호주에서 열리는 국제 로봇 대회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작은 체구지만 로봇 이야기를 할 때만큼은 어른 못지않은 진지함이 느껴졌다.
"전에 대회에서 1등 할 뻔했는데 로봇이 오작동해서 아쉬웠어요. 여기 와서 다른 로봇들 보니까 더 공부하고 싶어요."
동생도 형의 말에 질세라 거들었다.
"저도 새로운 로봇 많이 배웠어요. 나중에 저도 대회 나갈 거예요!"
아이들에게는 직접 보고 만지는 이 순간이 그 어떤 교과서보다 생생한 교육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학생들의 열정이 빛나는 공간 그리고 책임감
전시장은 크게 산업용 로봇 구역과 서비스 로봇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점심 시간 무렵에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지능형로봇사업단의 키친 로봇에 긴 줄이 형성되었다. 로봇이 만드는 햄버거 등 음식 체험을 위해서다.
전시장 한편에는 로봇과 AI 교육을 자랑하는 대학의 부스들이 있었다. 그 부스들 사이에 특별히 눈길을 끈 곳이 있었다. 내가 교장으로 있는 서울로봇고등학교, 로봇·AI 분야 유일의 마이스터고다. 교복을 단정히 입은 학생들이 방문객들에게 자신들의 작품을 설명했다.
한 학생이 로봇의 센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동안, 부스를 방문한 한양대 로봇공학과 한재권 교수는 작품을 꼼꼼히 살펴보더니 이렇게 평가했다.
"전문 업체 수준입니다. 이런 인재들이 더 많이 길러져야 우리나라 로봇 산업의 미래가 밝습니다."
칭찬을 들으며 교장으로서 깊은 자부심과 함께 '이 아이들의 꿈을 꺾지 않아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
기술 강국의 역설, "우리나라가 직접 만들어야 한다"
![]() |
| ▲ 2025로보월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로보월드를 체험중인 서초구 시민 최씨와 초등학생 아들 |
| ⓒ 오성훈 |
로보월드는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우리 산업의 현주소를 돌아보는 장이기도 했다. 학부모 최지민씨는 전시를 둘러보며 한 가지 아쉬움을 토로했다.
"로봇이 정말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걸 실감했어요. 그런데 부스를 돌아보니 대부분 해외 기술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곳이 많더라고요. 우리나라가 직접 만드는 기술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이는 로봇 산업 현장의 전문가들도 공감하는 부분이다. 대한민국 1호 로봇 컨설턴트 홍재호씨는 "로봇 산업은 빠르게 커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기술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특히 실무 경험을 갖춘 젊은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잠재력에 주목했다.
"고등학생들이 현장 적응력은 오히려 더 뛰어날 수 있어요. 실습 경험이 풍부하니까요. 이런 인재들에게 기회를 더 많이 줘야 합니다."
꿈을 심는 곳, 기회를 만드는 사회
킨텍스 로보월드는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미래를 꿈꾸게 하는 최고의 교육 현장이었다. 화려한 로봇들의 향연 속에서 아이들은 미래를 상상하고, 부모들은 기술의 발전을 실감하며, 때로는 우리 산업의 현주소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전시장을 나서는 아이들의 얼굴에는 여전히 흥분이 가시지 않았다. 주차장으로 향하는 한 아이의 말이 귓가에 맴돌았다.
"엄마, 나 로봇 만드는 사람 될래요!"
로보월드는 그런 꿈을 심어주는 곳이었다. 그리고 그 꿈이 학력의 벽이나 경력직 선호라는 현실에 부딪혀 좌절되지 않도록, 우리 사회가 '공정한 기회'와 '성장 경로'를 더 넓게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로보월드 2025 개최 정보]
- 기간: 11월 5일(수)~8일(토)
- 장소: 일산 킨텍스 1~2홀
- 규모: 30개국 350개사, 1,000개 부스
-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AI·로봇산업협회 외
- 홈페이지: www.robotworld.or.kr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기사 채택 후 개인블로그에도 실립니다.

